하며 스토리텔링하기 (그림일기장첨부) 한글/영어로 그림일기쓰기

이미지
 어린이 스토리텔링 베리가 매주 그림일기를 쓰고 이야기를 하기 시작한지 3개월째. 처음에는 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앉아서 무엇이든 쓰고 하나씩 완성하자는 의미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우리의 즐거운 루틴이 되었다. 우리는 쓰기라는 목적으로 시작한 것이 아니다.직접 말해보면서 소리나는대로 써보는 중 요즘 한국 어린이들은 어려서부터 자주 읽고, 즐겨 쓴다. 그러나 쓰기를 좋아하는 아이는 그리 많지 않다. 베리는 글쓰기를 좋아했지만 어머니의 강제성을 눈치채면 연필을 놓는 아이였다. 이런 베리가 즐겁고 주도적으로 일기를 쓰기 시작한 과정을 살펴보면 우리는 쓰기라는 목적으로 시작한 것이 아니다.첫째, 하나를 완성했다는 성취감을 느끼길 원했고, 둘째, 제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기를 격려했어요. 나름대로 완벽함을 추구하는 베리는 그림을 그리는 도중에, 종이 한 장, 또 글을 쓰는 도중에, 종이 한 장, 또 그리고 또 쓰는 반복이었다. 하지만 완성도보다는 과정과 노력에 대해 칭찬하고 그림이나 글로 표현하지 못한 것은 직접 얘기해 달라고 했다. 그러고 나서 우리는 한 편의 그림일기를 놓고 매주 감사한 점,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등을 이야기하며 그에 대한 마음 깊은 감정도 나눌 수 있게 되었다. 스토리텔링이 중요한 이 시대! 레인보우 컬러 아이의 이름 전에는 ROY G.BIV 아직 글씨를 못 쓸 나이라고?그래서 일기를 쓸 수 없다고?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우리는 무엇을 쓰기 위해 시작한 것이 아니다. 생활 속의 한 사건을 소재로 엄마와 아이가 깊이 교감하고 소통하게 됐다. 그 과정에서 아이가 자신의 이야기를 어떤 식으로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했다. 아이가 원하는 방식으로 액티비티를 하고(그림 그리기, 글씨 쓰기, 만드는 것 등) 말로 표현할 수 있게 들어줬다. 그것마저 싫다면 대화만으로도 충분하다. 겸손이 미덕이었던 구시대는 가고 자신을 보여야 하는 시대가 왔다.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을 드러내고 또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바야흐로 스토리텔링이 ...

확실한 수완가구갤러리에서! 광주수입가구 찾는다면

이미지
 혼자 발길을 옮겨 입주 준비를 하게 되었습니다!지금까지 쓰던 가구를 그대로 가져갈까 하다가 새로 살 기회가 이번뿐이라고 생각했죠.큰맘 먹고 낡은 가구를 버리고 광주 수입 가구를 살펴보았습니다.시간에 여유가 없어서 수도권에는 못 갔는데 지인이 광주에도 수입 가구를 전문적으로 파는 곳이 몇 군데 있다고 하더라고요. 그 중에서도 다양한 엔틱 가구, 프렌치 가구, 이탈리아 금장 가구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부부의 자가 운영 가구점을 소개해 주었습니다. 20년 넘게 수입 가구만을 전문으로 판매하는 수완가구갤러리 매장이었다.2층 구조로 되어 있어 쇼룸에 온 것처럼 디스플레이가 세련되어 보기만 해도 두근두근합니다. 수입 가구는 처음 해보는 입문이라 궁금한 점이 많았어요.저는 실용적인 가구 원단을 고르는 게 걱정이었는데 사장님이 이해하기 쉽고 자세히 설명해 주신 덕분에 준비에 큰 도움이 됐어요. 먼저 2층에서 올라가 소파와 4인용 식탁을 둘러봤는데 생각보다 규모가 컸어요.예쁘고 보기 좋게 예쁘게 꾸미고 주위를 둘러보면서 머릿속으로 홈스타일링도 했어요 패브릭은 요즘 기능성으로 너무 잘 만들었다지만 정말 생활방수와 이염에 강한 소파도 가득했어요. 표면의 촉감이 부드러운 누벅소파도 있었습니다.우수한 촉감인데 당연히 좋은 옷감이겠죠? 내구성도 좋아보이고 멋진게 부모님 집에 거실에 놓으면 분위기가 확 달라지거든요. 신혼부부의 혼수준비장이나 새로 입주할 가구를 찾고 있는 분은 인기 있는 가구 갤러리에 오시면 됩니다.요즘 트렌드에 맞는 종류도 많아 안목도 키우고 꼼꼼하게 잘해주니 저처럼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반짝반짝 화려한 이탈리아 금장 가구는 멋지게 꾸며져 있었지만, 장식장과 함께 있으면 풍성해 보여 드라마에서나 볼 수 있는 아우라였습니다!이탈리아 코르니치는 귀족적이고 골드감이 넘치지만 평소 관심 없던 금장가구도 실제로 보면 예뻤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TV장이나 거실을 고르는 게 쉬운 일이 아니거든요. 벽지와 옷감도 잘 어울려야 하고 TV도 올라가고 소품까지 ...

옛날 옛날에 우리 동네를 기억하시나요 [우리 기억 속의 서구]

이미지
 우리 기억 속의 서구 광주 100년 사진 보다가 우연히 본 서구 사진!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옛 사진! 옛 감성 소환 여행!그 10번째 마지막 이야기는 '옛날 옛 우리 동네를 기억하나요.' 입니다. 양동의 모습입니다. 1948년 초가집에 눈이 쌓였고 멀리 전남 제사공장의 굴뚝이 보입니다.1965년 양동시장에서 아기를 업은 엄마들이 리어카 사과를 보고 있습니다.1970년에 털고개에서는 보도블록 공사가 한창이었죠. 광천동(1962년)에는 기차가 다니고 농성동(1970년)은 택지를 정리할 수 있어서 더 예쁜 모습입니다상무동 쌍촌 공동세탁장 모습인데 마을 주민들이 함께 할 수 있는 공동세탁장이 있다는 게 신기하기도 하고, 왠지 우리 엄마들 빨래방망이 쓰는 소리, 얘기하는 소리, 웃음소리가 들리는 것 같아요. 양동복개도로의 모습입니다. 이동식 꽃박스(1973년)에 양1동 부녀회원들이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역시 봉사하는 모습은 예나 지금이나 아름다워요.~양동 복개상가 앞 도로가 차도 거의 없어서 매우 한가한 모습입니다.1999년 광주천 정화사업 후 복개도로의 모습인데, 차량이 많은 것으로 보아 당시 양동시장이 지역 최고의 시장이었음을 말해줍니다. 광천동 시민아파트 인근 골목의 하수구 정비 전후 모습(1974년)입니다.옛날에는 이렇게 골목길도 흙길이었고 담장도 시멘트 벽돌이었지요.이제는 골목골목 구멍가게도 사라지고 그 골목도 정비되어 지금은 찾을 수 없지만 시민 아파트만이 여전히 그 자리에서 서민의 삶이자 역사의 현장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농성 광장 주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976년에는 광장이 매우 넓게 느껴집니다.자세히 보니 현재 죽봉 김태원의병장 동상이 있는 곳에 광주 공단 상징탑이 있었다고 합니다^^ 1987년에는 상공회의소도 보이고 공장도 있습니다. 1993년에는 농성 지하차도 보이고 숲처럼 보이는 곳이 전남농촌진흥원(1992년 나주 이전) 자리인 것 같아요.2016년에는 농성역과 고층 빌딩, 아파트 등 현재와 같은 것 같네요. 19...